미세먼지 관련 뉴스량에 따라 소비행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그룹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7일 '미세먼지가 바꾼 소비행태 변화' 보고서를 통해 미세먼지 관련 뉴스가 늘어날수록 업종별 매출액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미세먼지 뉴스량이 많은 날과 적은 날의 소비 편차를 업종별로 살펴본 결과, 리조트·콘도·놀이공원은 뉴스량이 많은 날 30% 이상 매출액이 감소했다. 차량 정비(-29%)와 렌터카(-18%), 호텔(-10%)과 고속도로 통행(-10%) 등 나들이와 관련한 업종의 매출액이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와 농산품직판장 등 오프라인 쇼핑 업종 또한 미세먼지 뉴스량이 많은 날 매출이 급감했다. 반면, 온라인 쇼핑 업종은 매출액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음료·문화생활·여가생활과 관련된 업종은 미세먼지 뉴스량이 많아질수록 소비가 전반적으로 감소됐지만 세탁소(40%)와 목욕탕·사우나(12%) 등의 경우는 매출이 늘어났다.
한편 업종별 카드 매출액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실제 미세먼지 농도보다 미세먼지 뉴스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환경공단이 발표한 1995년 이후 국내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에 따르면 국내 미세먼지 농도는 ▲1995년 72㎍/㎥ ▲2005년 57㎍/㎥ ▲2015년 48㎍/㎥ 등으로 계속 감소추세에 있으며, 지난해 역시 41㎍/㎥ 내외로 추산되고 있어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대기질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청 등에 따르면 조사 대상의 90% 이상이 '미세먼지가 많다'고 응답하는 등 미세먼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이에 대해 '미세먼지'를 언급한 뉴스량이 지난 2009년 약 1100건에서 지난해 약 3만3000건으로 30배 가량 급증하면서 국민들의 관심과 불안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정훈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소비자들이 뉴스를 통해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인식하면서 실제 미세먼지 농도보다는 미세먼지 관련 뉴스량에 따라 소비행동이 달라지는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