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CU에서 마스크를 구입하는 고객./BGF리테일
CU "올 겨울 미세먼지 영향에 핫팩 판매 줄고 마스크 불티"
올해 겨울은 동장군보다 미세먼지가 소비자들의 주머니를 열었다.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 탓에 편의점에서 주요 동절기 상품의 매출은 다소 주춤한 반면,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주의보가 잦아지며 마스크 매출은 큰 폭으로 뛰었다.
편의점 CU는 최근 3개월(12월1일~2월25일)간 주요 상품들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대표적인 온장고 음료인 두유와 캔커피의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은 각각 6.0%, 9.3%로 한 자릿수 신장률에 머물렀고 원컵류는 5.1% 매출이 감소했다고 26일 밝혔다.
핫팩의 경우, 올해는 비교적 따뜻한 겨울 날씨에 4.8% 매출이 역신장 했다. 지난해 기록적인 한파에 매출이 2배나 뛰며 주원료인 철분의 수급까지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역대 최고의 판매량을 기록했던 모습과 대조적이다.
실제, 기상청이 이달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올해 서울의 한파일수는 단 하루뿐이었고 1월 초 반짝 추위 이후 최저기온은 평년과 비교해 2도 가량 높은 수준이었다.
큰 추위가 없는 대신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며 편의점에선 위생용품들이 불티나게 팔렸다.
CU에 따르면 같은 기간 마스크 매출은 전년 대비 22.6%나 매출이 크게 뛰었다. 연초 고농도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덮친 1월 중순(11~14일) 마스크 매출은 대기 질이 좋았던 그 전주 동기간 대비 6배 가량 증가할 정도로 소비자들의 구매가 집중됐다.
이 외에도 텁텁한 입과 목을 헹구는 가글용품과 세균 제거를 위한 손 세정제 매출도 전년 대비 각각 20.8%, 18.2% 신장했다.
갈수록 커지는 미세먼지 공포에 편의점 마스크 매출은 해마다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CU의 최근 3년간 마스크 매출은 2016년 37.0%에서 2017년 77.2%로 급증했으며 지난해에는 104.3% 큰 폭으로 올랐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춰 CU는 3월부터 전국 주요 입지 점포에 'CU 미세먼지 세이프존(Safe zone)'을 별도로 운영하고, 마스크 상품 수를 늘렸다. 가맹점주에게 제공하는 '날씨정보 이용 시스템'에는 미세먼지 지수를 추가했다.
BGF리테일 생활용품팀 최유정 MD는 "최근 미세먼지가 소비자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편의점이 할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CU는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영업전략 수립과 상품구색 강화를 통해 가맹점의 효율적인 점포 운영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