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전국에 40만여가구가 입주, 전국 곳곳에서 역전세난이 우려된다.
특히 서울의 경우 올해에 비해 입주물량이 크게 줄지 않는 새해에도 전셋값이 급등할 가능성이 희박하다.
29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새해 전국에서 37만1594가구가 입주한다. 이는 올해 45만6681가구보다 18.6% 감소한 수준이다. 서울과 광주가 올해보다 입주물량 증가폭이 크다. 광주는 새해 1만3566가구, 서울은 4만3255가구가 입주한다. 이외 지역은 대부분 올해 보다 줄어든다. 경기 화성시는 새해에도 2만1212가구가 입주해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어 평택시, 시흥시 등이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경남 김해시가 1만2204가구로 입주물량이 가장 많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가 13만5511가구, 서울은 4만3255가구가 입주한다. 새해 강남4구는 올해(1만5712가구)보다 소폭 증가한 1만5912가구가 입주한다. 하지만 오는 12월 입주하는 송파구 가락동의 헬리오시티(9510가구)의 입주가 내년으로 연기될 경우 강남4구 입주물량은 2만5422가구로 늘어난다. 강동구는 새해 1만가구가 넘는 물량이 대거 입주해 쏟아지는 전세물건으로 인해 일정 기간 역전세난도 우려되고 있다. 이외에 수도권에서는 새해에도 입주물량이 쏟아지는 화성시와 시흥시 등의 전세시장은 하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부산은 올해 들어 월간 전셋값 변동률이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새해에도 올해와 비슷한 수준인 2만4000여가구가 입주, 전세시장은 약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대구는 새해 입주물량이 줄면서 올해에 이어 전셋값 상승을 이어갈 전망이다. 올해 4만가구가 입주했던 경남은 올해보다 소폭 줄어든 3만3316가구가 새해 입주한다. 그러나 부담스런 물량이다. 1만6000여가구가 입주하는 경북도 마찬가지다. 1만2000가구가 입주하는 충북도 올해 이어진 전셋값 하락이 새해에도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에서는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2월), 디에이치 아너힐즈(8월), 서초구 잠원동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6월), 강동구 고덕동 고덕그라시움(9월) 등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들의 입주가 이어진다.
비강남권에서는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6월), 신촌숲 아이파크(8월), DMC에코자이(12월) 등이 입주한다.
수도권에서는 고양시 향동지구 호반베르디움(7월), 남양주 진건지구 힐스테이트 진건(1월), 의정부시 e편한세상 추동공원(3월), 안양시 평촌 더샵아이파크(3월)가 입주한다.
인천에서는 중구 영종하늘도시 e편한세상 영종하늘도시2차(1월), 연구수 연수파크자이(5월), 남동구 논현 푸르지오(10월) 등이 입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