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스톱 PB(자체브랜드) 미니퍼스트./미니스톱
PB가 끌고 서비스가 밀고…진화하는 편의점
편의점이 생활 속 곳곳으로 침투하고 있다. 갈 수록 치열해지는 업계간 경쟁 때문이다. 업계는 자체브랜드(PB)상품을 강화하고, 생활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전방위적인 공략으로 경쟁사와 차별화에 나섰다.
◆미니스톱·이마트24까지…편의점 5社 PB 경쟁
지난 19일 미니스톱은 PB인 '미니퍼스트(MIN1ST)'를 론칭했다. 이로써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를 포함한 국내 주요 편의점 5개사 모두 PB 통합 브랜드를 갖추게 됐다.
편의점 PB 시장의 규모는 해가 갈 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가 발표한 국내 편의점 PB 시장의 규모는 지난 2008년 1600억원에서 2017년 3조5000억원으로 훌쩍 뛰었다.
이는 편의점들이 PB 제품 개발 및 출시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CU '헤이루(HEYROO)', GS25 '유어스(YOU US)', 세븐일레븐 '세븐셀렉트(7-SELECT)'에 이어 지난 7월에는 편의점 후발주자인 이마트24에서 '아이미(I'm e)'를 론칭했다. 여기에 미니스톱까지 PB 경쟁에 가세했다.
이렇다보니 편의점 전체 매출에서 PB가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늘었다. CU,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3사의 PB 비중은 현재 40%를 넘보고 있다. 지난해 기준 GS25가 36.4%, 세븐일레븐이 35.8%, CU가 35%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편의점들이 PB 상품에 적극 투자하는 이유는 독점 공급으로 중간 유통단계를 생략해 마진율이 일반상품(NB) 보다 5~10p 가량 높기 때문이다.
또한 편의점만의 히트 상품을 선보일 수 있다는 점도 이유다. GS25의 '오모리김치찌개'나 '대게딱지장'이 그 예다. '대게딱지장'의 경우, 출시 후 2달여 만에 100만개가 판매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얻으면서 이후 대게딱지장 삼각김밥 등이 잇따라 출시됐다. 원소스 멀티유즈를 적극 활용한 것이다.
편의점 업계는 식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품군으로 PB 제품을 확대할 계획이다. CU의 반려동물 용품 브랜드 '하울고', GS25와 토니모리가 협업한 화장품 브랜드 '러비버디' 등이 판매되고 있다.
◆금융·택배까지…생활 플랫폼으로
최근들어 편의점들은 단순 판매 채널이 아닌 생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하는 분위기다. 금융, 택배 등 서비스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편의점들은 금융권과 제휴를 맺고 금융플랫폼으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CU는 지난 2016년부터 신한은행과 함께 점포 내 디지털키오스크를 운영 중이다.
GS25는 KB국민은행, 신한, 우리 등 주요 시중은행을 비롯해 전국 79개 은행과 손잡고, GS25 ATM 입출금을 은행과 동일한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세븐일레븐도 올해 8월부터 KB국민은행 리브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편의점에서 카드 없이 출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KB국민은행과 MOU를 체결한 뒤, 올해 4월부터 ATM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한 데 이어, 리브 서비스로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세븐일레븐은 카카오뱅크, 증권사 등과도 손을 잡고 있다.
편의점들이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은 방문 객수의 증가 때문이다. GS25가 분석한 올해 상반기 ATM 사용 현황에 따르면 전년 대비 이용 횟수가 107.8%로,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은행이 문을 닫은 심야 시간(오전 12시~오전 9시)의 ATM 사용율은 118.4%로 크게 늘었다.
이와 함께 편의점들은 택배 서비스 등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 택배 픽업 서비스, 카셰어링, 항공권 예약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세븐일레븐 시그니처 롯데시티호텔울산점./세븐일레븐
이마트24 동작 노을 카페 루프톱./이마트24
◆편의점의 진화…문화로 스마트로
세븐일레븐은 24일 울산 롯데시티호텔 1층에 세븐일레븐 시그니처 4호점(롯데시티호텔울산점)을 최초 로드샵 형태로 오픈했다고 밝혔다.
시그니처 4호점은 그간 세븐일레븐이 스마트 편의점을 구현하기 위해 구축·테스트해 온 모든 시스템을 적용한 점포다. 인공지능 결제로봇 '브니'부터 스피드 보안 게이트, 스마트 CCTV, 스마트 담배자판기 등 시그니처 모델의 핵심 IT 기술을 모두 적용해 스마트한 쇼핑 환경을 구축했다.
세븐일레븐은 시그니처 4호점을 기반으로 스마트 편의점 모델을 확고히 정립하고, 전국 단위의 가맹 모델로서 확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세븐일레븐뿐만 아니라 GS25 등에서도 IT 기반의 미래형 점포 구축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이렇듯 똑똑한 점포가 확대되는 한편, 단순 판매점을 넘어 카페 등 다양한 공간으로의 변신도 눈에 띈다.
이마트24가 서울 한강 동작대교 위에 선보인 라운지 형태의 편의점 '동작 구름·노을 카페'가 대표적이다. 지난 9월경 첫 선을 보인 구름·노을 카페는 오픈 20여일 만에 방문객 1만명을 돌파하는 등 인기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