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25 영업사원이 경영주에게 점포 데이터를 설명하고 있다./GS리테일
GS리테일, 하루 700만건 빅데이터로 '데이터 경영' 본격화
GS리테일이 GS25, GS수퍼마켓, GS fresh, 랄라블라 등 각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해 구매 트렌드를 파악하고 신상품 개발에 활용한다. 하루에 발생되는 판매 데이터는 약 700만 건이다.
11일 GS리테일은 전국 GS25 점포를 12가지 상권으로 분류했다고 밝혔다. 또한 GS fresh 등의 온라인 사업 효율 제고를 위해 어도비와 손잡고 '어도비 어낼리틱스' 솔루션을 도입하는 한편, GS25, GS수퍼마켓 등 각기 다른 사업장의 상품을 하나의 관점에서 분석 가능하도록 분석용 상품 분류 체계를 마련했다.
먼저, GS리테일은 전국 GS25 점포의 시간대별 판매 상품 및 성별, 연령대별 구매 정보를 바탕으로 12가지 상권 분류를 마쳤다.
매년 두 차례씩 업데이트해 전국 가맹점 컨설팅 영업 직원들에게 배포되는 'GS25 상권 유형별 데이터'는 기존 가맹점주뿐만 아니라, 신규 가맹점주들의 영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
온라인몰 GS fresh에 도입된 '어도비 어낼리틱스'는 이용 고객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GS25는 이 시스템을 통해 GS fresh에서 최종 구매를 완료한 고객의 온라인몰 내 이동 경로 및 패턴을 분석, 고객이 물건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온라인몰을 정비했다. 또한 외부 광고를 실시한 온라인 사이트 중 가장 효율이 높은 고객 유입 경로를 밝혀내, 상반기 대비 첫 방문 고객 구매율을 두 배 이상 끌어올렸다.
또한 GS리테일은 GS25, GS수퍼마켓, 랄라블라의 상품 분류 체계를 일원화해 통합 상품 분석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모든 취급 상품의 성분, 용량, 기능, 용도에 특정 속성값을 부여해 소비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PB 상품 개발 등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김경훈 GS리테일 데이터 지원팀장은 "데이터가 기업의 미래 경쟁력이 되는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 앞으로 GS리테일의 모든 사업 영역에서 확보되는 수많은 데이터를 캐내고 분석하여 황금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들고자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