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전세시장이 크게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입주 아파트는 전국 32개, 2만2322가구다. 이 중 1000가구 이상의 아파트가 11개, 1만3973가구로 전체의 63%에 해당된다. 이는 3월에 비해 68.9%(9107가구)가 증가한다. 이따라 전월세 증가로 세종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값이 내릴 전망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은 전월대비 115%(2334가구) 증가한 4364가구가 입주한다. 서울(2916가구)은 강서구 마곡동 "마곡13단지힐스테이트마스터" 1194가구, 영등포구 신길뉴타운 "래미안에스티움(신길7구역)" 1722가구가 입주한다. 경기(1448가구)에서는 김포 운양동 "운양역한신휴더테라스(Bc-12)" 351가구 등이 입주한다.
지방은 3월과 비교해 60.6%(6773가구) 증가한 1만7958가구가 입주한다. ▲세종 6809가구 ▲경남 4882가구 ▲대전 1747가구 ▲부산 1394가구 ▲울산 903가구 ▲충남 780가구 ▲전남 774가구 ▲전북 437가구 ▲강원 232가구 등이다.
4월 입주가 집중된 세종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출범 이후 월간 입주물량의 최대로 6809가구다. 세종시는 기존 주택시장이 약세로 전환, 전세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세종시의 주요 입주단지로는 새롬동 "세종2-2생활권P3메이저시티(M6블록)" 1077가구, "세종더샵힐스테이트(2-2생활권M3블록)" 1027가구 등 6809가구를 꼽을 수 있다. 경남에서는 창원시 "창원감계힐스테이트4차" 1665가구, 양산시 "양산물금지구2차EGthe1" 1768가구 등 4882가구가 입주한다.
서울에서는 마곡도시개발사업지구13단지에 공급한 "마곡13단지힐스테이트마스터" 1194가구로 지하철 5호선 송정역, 마곡역 일대의 더블역세권 단지다. 전용 59㎡ 매매가격은 4억2000만~4억5000만원, 전셋값은 3억6000만~4억 수준이다.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2039번지(신길7구역)의 "래미안에스티움" 전용 39~118㎡, 1722가구도 관심 대상이다.59㎡ 매매가격은 5억5000만~6억1000만원, 전셋값은 4억1000만~4억3000만원 수준이다.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이 공급한 세종시 새롬동 2-2생활권 M3블록의 "세종더샵힐스테이트"는 전용 59~133㎡, 1027가구다. 전용 59㎡ 매매가격은 3억3000만~3억4000만원, 전셋값은 1억3000만~1억8000만원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