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골프

전인지부터 박인비까지…만성부성 시달리는 골프선수들



단골 부상 부위는 허리·어깨·무릎·손목으로 꼽혀

프로 선수 대부분이 만성 부상에 신음

전인지, 박인비 등 골프 선수들이 잦은 부상에 시달리고 있다. 아프지 않은 골프 선수는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올 시즌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에서 신인왕과 최저타수상 2관왕을 거머쥔 전인지(22)는 허리 부상에 신음하고 있다. 그는 올해 에비앙챔피언십에서 우승했을 때도 두꺼운 패딩조끼로 보온을 유지했다.

타 선수들에 비해 다소 과하다 싶을 정도의 옷차림이었지만 전인지에게는 꼭 필요했다. 전인지는 "비가 내려서 날씨가 차고 습했다. 허리 통증 예방 차원에서 따뜻하게 입었다"고 토로했다.

전인지의 허리 통증은 하루 이틀 이어져온 것이 아니다. 지난해 연말에는 허리와 어깨 통증으로 시즌을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했고, 지난 2014년에도 허리 때문에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신인왕 경쟁을 포기한 전적이 있다.



전인지와 함께 박인비(28)도 허리 통증과 손가락 인대 부상으로 인해 시즌을 접었다. 또 고진영(21)과 허윤경(27)은 무릎 때문에 한동안 고생했다. 특히 허윤경의 경우 지난 2014년 무릎 통증 때문에 시즌을 중도에 포기했다가 지난해 6월이 되어서야 복귀했다.

골프 선수들은 자잘한 부상을 안고 산다. 시즌을 포기하는 사태까지 벌어지는 것은 드물지만, 대부분의 선수들이 만성적인 통증을 겪고 있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지정병원 솔병원이 KLPGA 투어 선수 1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9%가 "아픈 곳이 있다"고 응답했다. 단골 부상 부위는 허리와 어깨, 무릎과 손목이다.

염증이 35%로 가장 많은 부상의 유형으로 꼽혔고, 인대 부분 파열(22%), 힘줄 부분 파열(19%), 힘줄 염(15%), 디스크 손상(9%)이 그 뒤를 이었다.

골프는 타 경기에 비해 격렬한 동작을 취하진 않지만 몸에 부담을 주는 동작들을 이어가야하기 때문에 부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골프 스윙은 허리, 어깨, 무릎에 많은 부담을 주는데다가, 프로 선수들의 경우 대개 초등학교 6학년부터 전문 선수의 길에 들어서며 엄청난 훈련량을 소화한다.

더욱이 주니어 무대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중고등학생 때는 하루 1000개 넘는 연습 공을 치는 것이 평균이다. 그야말로 종일 골프채를 휘둘러야만 하는 것이다.

스포츠 의학 전문 솔병원 나영무 대표 원장은 골프 선수들의 부상 이유는 대부분 과사용 증후군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골프 선수 부상은 쉬지 않고 너무 많이 몸을 써서 생긴다"면서 "골프 스윙 자체는 허리 쪽에 엄청난 압력을 주는데 이런 압력을 오랫동안 지속해서 받으면 디스크 등 각종 질환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더군다나 여자 선수들의 경우 근력은 약한데 스윙 동작이 커 부상의 위험도 높아진다. 또 코킹 동작이나 러프에서 샷을 할 때도 부상 위험이 크다.

비단 이런 문제만이 전부는 아니다. 경기 중 다치는 일도 적지 않다.

프로 골프 경기에서 선수는 코스를 걸어서 이동하는데, 코스 전자은 직선거리로 6km가 넘는다. 4라운드 대회를 치를 경우 나흘간 40km 가까이 걸어야 하는 것.

1년 내내 걸어야 하는 선수들의 경우 발목, 무릎, 허리, 발바닥 등에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피로가 누적된 상태에서 경사지를 걷다가 다치는 경우도 많다.

박세리(38)의 경우 현역 시절 연습량이 많기로 유명했던 선수다. 박 선수는 임팩트 때 이를 악무는 습관 때문에 치아가 상해 경기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하기도 했다.

대부분 쉬면 증세가 나아지지만, 프로 선수들은 쉴 시간조차 부족하다.

솔병원 설문조사에 따르면 부상 치료나 예방을 못 하는 이유에 대해 24%가 "시간이 없어서"라고 답했다. 17%는 "피곤해서"라고 답했다.

나영무 원장은 잔 부상이라도 빨리 대처하라고 권했다. 그는 "골프 선수는 다른 종목에 비해 잔 부상이 많다"면서 "하지만 계속 그렇게 하면 염증이 유착되어서 부상 부위가 뻣뻣해지고 찢어지는 등 악화된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