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욱이 구자철에게 역전골 어시스트를 하고 있다.
우즈벡전, 후반전 남태희·구자철 득점으로 역전승
플랜B 김신욱, '슈틸리케호' 조커로 거듭나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대한축구협회의 재신임을 받았다. 15일 우즈벡전 역전승 덕분이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5일 오후 8시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5차전 홈경기에서 2 대 1로 승리를 거머쥐었다.
한국은 전반 25분 수비에서의 실수로 우즈벡에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반 남태희와 구자철이 연이어 득점하며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 최종예선 10경기 중 5경기를 치른 가운데 한국은 3승 1무 1패(승점 10점)로 조 2위로 올라섰다.
사실상 '단두대 매치'였던 우즈벡전의 승리로 슈틸리케 감독의 거취도 명확해졌다. 대한축구협회는 16일 슈틸리케 감독의 재신임을 확정했다. 기록도 나쁘지 않다. 한국은 5경기에서 A조 6팀 중 가장 많은 8골을 기록했다. 1위 이란(4골 승점 11점)의 두 배다.
그러나 방심하기는 이르다. 한국은 카타르, 중국과 함께 5경기 6실점으로 A조 최다실점 국가다. 우즈벡과는 승점 1점 차로 앞섰지만 골득실은 똑같다. 선두 이란과 1점 차, 3위 우즈벡과 1점 차로 여전히 불확실하다. 최종 9~10차전이 지나야 티켓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슈틸리케 감독의 전술면에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우즈벡 역전승의 핵심이 플랜A가 아닌 플랜B였던 것도 한 몫 한다.
플랜B의 핵심인 김신욱은 카타르, 우즈벡전에서 맹활약했다. 우즈벡전에서 두 번째 교체 카드로 투입된 김신욱은 경기 흐름을 바꾸는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다. 장신 공격수 김신욱은 힘과 높이로 우즈벡의 수비진을 끊임없이 괴롭혔다. 카타르와의 3차전에서도 전반 1 대 2로 끌려가다가 김신욱의 투입 후 후반 2골을 기록하며 역전승에 성공했다. 최종 예선 역전승의 중심에는 모두 김신욱이 있었던 것.
그러나 슈틸리케 감독은 김신욱을 플랜B로 못 박았다. 감독이 추구하는 축구에 맞지 않다는 이유다.
그렇다면 플랜A는 어떨까. 플랜A는 팀이 어떤 축구를 지향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그러나 '슈틸리케호'의 플랜A는 오리무중이다. 플랜A 공격수는 이정협, 황희찬이다. 이정협은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했고, 한국의 플레이도 단순했다. 슈틸리케 감독이 지향하는 '점유율 축구'도 더 세밀하게 다듬지 않으면 미래는 불투명하다.
슈틸리케 감독이 2014년 10월 부임 후 2년 1개월의 시간이 지났다. 그간 다양한 시도를 거쳤던 플랜A가 정착되지 않으면 과김히 틀을 바꿀 필요도 있다. 남은 최종 예선은 내년 3월 2연전, 6월 1경기, 8~9월 2연전이다. 슈틸리케 감독이 한국 선수들의 특징에 맞는 전략과 전술을 입히며 변화를 시도할 지 지켜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