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부동산대책' 후폭풍이 현실화되고 있다. 수요· 공급이 모두 감소세로 주택업계의 긴장도 높아지는 분위기다.
이달 수도권 아파트 분양물량이 크게 줄어 든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이달 초 조사 당시 수도권에서 35곳, 2만4642가구 분양에서 '11.3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23곳, 1만8453가구 분양으로 나타났다. 분양 연기가 일주일새 12곳, 6189가구가 줄었다.
지역별로 서울 10곳, 4491가구, 경기도 2곳, 1698가구가 분양을 연기했다. 서울에서는 'e편한세상 염창(499가구)', '꿈의숲 효성해링턴 플레이스(1028가구)', '공덕 SK 리더스 뷰(472가구)',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1531가구)', '연희파크 푸르지오(396가구)' 등이 11.3부동산 대책 발표 후 다음달이나 내년으로 분양을 미뤘다. 하지만 더 줄어들 수 있다. 재개발, 재건축 등은 철거를 100% 완료 후 일반분양 보증서를 발급받기 때문에 연기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게다가 건설사들이 물량조절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이런 때일수록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기회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11월 3일 이후 분양하는 아파트는 최장 소유권 이전 등기 때까지 전매가 금지돼 투기수요가 빠지고 청약경쟁도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분양에 나선 곳으로는 이달 서울은 5곳, 1387가구다. GS건설은 서울 첫 환지 방식 도시개발사업으로 '목동파크자이'를 선보인다. 전용면적 84·94㎡T 356가구 모두 일반분양한다. 삼성물산은 신반포18·24차를 재건축한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를 분양한다. 현재 철거 완료하고 착공계 승인도 마친 상태다. 전용면적 49~132㎡ 475가구 중 일반분양은 전용면적 59, 84㎡ 146가구다.
경기도는 14곳, 1만4049가구가 공급된다. 시흥시에서는 대우건설이 대야동 일원에서 '시흥 센트럴 푸르지오' 아파트 전용면적 59~106㎡ 2003가구, 오피스텔 전용면적 23~49㎡ 250실이다. 시흥시 목감지구 B-9블록에서는 호반건설이 시흥 목감지구 내 마지막 민간분양 아파트인 '시흥 목감 호반베르디움 5차 전용 84㎡ 968가구'를 분양한다. 대우건설은 의왕시 포일동 옛 농어촌공사 부지에 '포일 센트럴 푸르지오' 전용면적 84, 99㎡ 1774가구를 공급한다.
동탄2신도시에서는 중흥건설이 동탄2신도시 A35블록에 '동탄2신도시 중흥S-클래스 에코밸리' 전용면적 83㎡ 43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인천에서는 GS건설이 인천 연수구 동춘동 동춘1도시개발사업지구 7블록에서 '연수파크자이'전용면적 76~101㎡ 1023가구를 공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