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등 부동산대책이 예상되면서 시장이 더욱 혼미해지고 있다. 8.25 가계부채 대책 이후 서울 강남권 재건축단지 중심으로 묻지 마 투자가 급증, 일부 시장 과열이 니타났다. 이에 정부는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 연장, 청약 재당첨 금지, 청약 1순위 자격요건 강화 등 선별적인 규제를 검토중이다.
주택업계는 청약제도 및 분양권 전매 개편 등 선별적 대응으로 전망하면서도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모습이다. 정부 정책 예고 후 곧바로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 곡선이 꺾였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10월 마지막 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0.00%의 변동률을 보이며 32주 만에 상승세가 멈췄다. 반면 서울 강북(0.48%), 노원(0.32%) 등은 여전히 오름세를 보였다. 현재로선 분양권 전매제한 강화, 청약 재당첨 금지 등 선별적 규제대책으로도 주택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지난 9월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월 대비 감소했다. 9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월 대비 3.0%(1862가구 줄어든 6만700가구다. 월별 미분양 물량은 6월 5만9999가구에서 7월 6만3127가구로 늘어난 뒤 8월(6만2562가구)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지방의 상황은 엇갈려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미분양(1만9021가구)은 10.9% 줄어든 반면 지방(4만1679가구)은 1.2% 늘었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 대비 496가구 줄어든 8092가구, 85㎡ 이하는 전월 대비 1366가구 감소한 5만2608가구다. 준공 후 미분양은 같은 기간 4.0% 줄어든 1만738가구다. 이렇듯 주택시장이 혼미한 양상에 빠졌다.
주택업계 관계자는 "정책 예고만으로 강남 재건축 등 시장이 위축되는 분위기"라며 "10월 공급물량이 많아 미분양은 다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와 같은 분위기는 내년 상반기 이후 완전히 다른 양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침체가 심화될 것이라는 전조로 읽는 전문가도 있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주택경기 침체에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