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신도시 용역설명회에 국내·외 엔지니어링 및 스마트 관련 업체 30여 곳이 참석해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LH는16일 국내 엔지니어링 및 스마트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다. 앞서 LH는 지난 5일 '쿠웨이트 사우스 사드 알 압둘라 신도시 마스터플랜 및 실시설계용역'을 국제입찰 형식으로 발주 공고한 바 있다.
이번 설계용역에는 쿠웨이트 신도시에 대한 도시계획·토목설계, 시범주택단지 건축설계, 정보통신설계, 전력설계, 사업타당성 조사 등이 모두 포함돼 있다. 특히 쿠웨이트 주거복지청 '나세르 아델 크라이붓' 계획국장이 직접 압둘라 신도시의 현장 특징, 개발 비전 및 국내외 엔지니어링 업체에 요구되는 사항을 설명했다.
LH는 오는 10월10일까지 제안서를 접수받고, 10월 중 제안서를 평가해 우선순위 협상적격자를 선정한다. 최종 용역계약은 10월 말 또는 늦어도 11월 초에 체결할 계획이다. 설계예산만 348억원에 달하는 용역비용 일체는 쿠웨이트 정부가 부담하며 선정된 엔지니어링 업체는 LH와 함께 압둘라 신도시의 설계용역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설계용역은 지난 6월 박상우 LH사장이 쿠웨이트 주거복지청장과 신도시 사업 추진방안을 직접 논의, 'LH가 설계용역을 발주하고 엔지니어링업체를 선정'하기로 한 내용이다. LH는 지난 6월 '쿠웨이트 신도시 설계단'을 조직하고 그동안 용역발주를 준비해 왔다.
압둘라 신도시는 쿠웨이트시티 중심으로부터 서측 30km에 위치, 면적은 분당신도시의 3배 규모인 64.4㎢, 2만5000~4만가구로 쿠웨이트 9개 신도시 중 입지가 가장 뛰어나다. 또한 한국이 압둘라 신도시에 쿠웨이트와 공동으로 투자할 경우 쿠웨이트 정부가 기반시설 설치비용을 부담하고, 미분양된 택지 및 주택을 매입해 국내 기업의 투자 리스크가 낮다.
이번 용역을 통해 압둘라 신도시의 사업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관련 대내외 심의절차를 거쳐 올해 중 예비 LH컨소시엄을 구성하고, 내년 하반기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한 후 2018년에는 신도시 건설공사를 착수할 계획이다.
LH는 쿠웨이트 신도시에 최신 신도시 개발기술과 더불어 스마트 그리드·교통·물 관리,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폐기물 활용형 열병합 발전 등을 접목시켜 명실상부한 스마트도시로 개발하고, 이를 중동지역에 확산시켜 나간다는 각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