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또는 7월 중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한국 등 신흥국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의 제임스 블라드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는 30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로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6년 한국은행 국제 컨퍼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미국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 신흥국들의 긴축발작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투표권자 12명의 위원 중 한 명인 블라드 총재는 이날 한국 기자들과 만나 "금융시장이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해 높은 수준의 준비를 해두었다"고 평가하며 "지난 2013년 12월 미국이 처음으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을 단행했을 때도 국제금융시장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고, 당시에도 이전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테이퍼링)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올 여름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국제금융시장이 이와 비슷한 상황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예상한 것이다.
블라드 총재는 또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해선 "다음달 Fed 회의에서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살핀 후 판단할 것이며 이전까진 (금리 인상을)언급하지 않을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또한 한은이 수출입은행·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의 자본확충을 지원하는 부실기업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선 "중앙은행은 독립기구이기 때문에 기업 구조조정에는 관여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고용과 성장'을 주제로 열린 컨퍼런스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개회사를 통해 지속적인 균형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고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단기적 성장률을 제고하기 보단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균형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기본적으로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하여 고용 확대에 도움이 되는 여건을 조성, 이와 함꼐 미시적 차원에서도 고용유발효과가 큰 서비스산업의 육성과 창업지원 등을 통해 일자리를 늘려 나가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