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와 관련한 빅데이터가 마련된다.
국토교통부는 26일부터 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요금을 지불할 때 생성되는 1일 2100만건의 교통카드 전산자료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통카드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1단계 구축사업을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그동안 교통카드 자료를 공공 차원에서 수집해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가 없고 교통카드 정산사업자(한국스마트카드, 이비카드, 코레일 등 8개사)별로 정보 체계가 달라 효율적인 사용에 제약이 많았다.
이에 지난해 말 국회에서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교통카드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2014년 교통카드 사용이 92.1%에 달할 정도로 보편화돼 교통카드빅데이터는 교통수단, 승·하차 시간, 노선 및 정류장, 환승여부 등 이용자의 통행실태 정보를 담고 있어 활용가치가 커졌다.
국토부는 올해 교통카드 정산사업자 1개를 대상으로 1단계 사업을 추진해 시스템 표준화 기반을 마련하고, 2017년에 전체 정산사업자로 확대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교통카드 데이터는 법적으로 '이용자를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가공한 자료'로 규정돼 있으며, 개별 교통카드 정산사업자는 교통카드 정보를 암호화해 가상번호로 변환한 뒤 이를 통합정보시스템에 제공함으로 데이터 수집단계에서부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가 마련돼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에는 문제가 없다.
국토부는 '교통카드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을 활용하면 기존 대중교통 9000여개 노선에 대한 수요조사방식과 비교해 조사비용을 약 97% 절감(9억5000만 원→ 4700만 원)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데이터 요청 시 결과 제공까지 걸리던 기간도 기존 45일~ 90일에서 10일 이내로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에 통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민간에서 부동산, 통신, 재해·재난, 기상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할 경우 광고입지 분석, 창업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