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국제일반

음악 서비스도 스트리밍이 대세···29% 증가하며 1위 넘봐



미국 스트리밍 음악서비스 매출이 CD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은 스포티파이(Spotify)나 랩소디(Rhapsody)같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와 시리우스 XM(Sirius XM)같은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업체들이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18억7000만 달러(약 2조8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19일 보도했다. 이는 전년보다 29%나 증가한 수치다. 스트리밍 서비스가 미국 음악 산업 전체 규모(69억7000만 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7%로 올라갔다.

새로운 부흥기를 맞은 LP 레코드판도 지난해 3억15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 거의 50% 증가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반면 CD의 매출은 18억5000만 달러로 12.7%나 감소했다. 지난 10년간 미국 음악산업 매출 중 가장 큰 몫을 차지한 디지털 다운로드의 경우 2012년 정점을 찍고 나서 내림세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25억8000만 달러의 매출로 전년보다 8.7% 하락했으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7%에 그쳤다.

이처럼 스트리밍 서비스 산업 규모가 지속적으로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음악인들과 음악 공급업체 사이에 새로운 파워게임 양상이 드러나고 있다. 세계적인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경우 무료서비스 문제를 놓고 다툼을 벌인 뒤 스포티파이에서 아예 자신의 음악을 철수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스포티파이는 이용자들을 다른 유료서비스로 유도하는 데 무료서비스가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미국음반산업협회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인 캐리 셔먼은 "음악산업은 믿기 어려운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며 "레코드회사들은 이제 디지털음악 회사들이며 수입원의 3분의 2 이상을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분야에서 창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