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국제일반

테러의심자 급증해 '파리 테러' 못 막았다?

프랑스내 지하디스트 200명 추정···네번째 용의자 행방 묘연
 

'프랑스 테러' 후폭풍이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테러 징후를 사전에 입수하고도 시민 17명과 인질범 3명 등 총 20명의 희생자를 낸 프랑스 정보 당국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는가 하면 테러 규탄 시위에는 무려 70만 명의 시민이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여성 테러 용의자 한명의 행방이 모연한 것으로 알려져 프랑스 국민들의 불안감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프랑스 정보 당국이 사살된 테러 용의자 3명에 대한 사전 정보가 충분했지만 연이은 테러를 막지 못한 이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지적했다.

프랑스 경찰과 정보 당국은 풍자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테러 용의자인 쿠아치 형제와 예멘 알카에다의 연관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었다는 주장이다. 셰리프 쿠아치는 2008년과 2010년 파리 지하철 폭탄테러범의 탈옥을 도우려 한 혐의 등으로 체포된 바 있다. 사이드 쿠아치도 2011년 예멘에 머물며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지부(AQAP)에서 훈련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파리 동부 유대인 식료품점에서 인질극을 벌이다가 사살된 테러 용의자 아메디 쿨리발리 역시 2010년 셰리프와 함께 지하철 폭탄테러범의 탈옥을 돕는 등 이미 쿠아치 형제와의 관련성이 밝혀진 상태다.

프랑스 정보 당국의 이같은 실수에 대해 미국 당국의 한 관계자는 "프랑스 내 지하디스트(이슬람 성전주의자)로 의심되는 인물이 갈수록 늘어 쿠아치 형제에 대한 감시 강도를 낮췄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프랑스는 시리아, 이라크 등지의 극단주의 세력에 합류한 자국민 1000∼2000명 중 약 200명이 돌아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34개국 정상 테러 규탄 시위

파리 연쇄 테러 용의자 중 유일하게 생존한 하야트 부메디엔(26)의 행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AFP 등에 따르면 부메디엔은 지난 8일 동거남 쿨리발리가 파리 남부 몽루즈에서 여성 경찰관 1명을 총으로 살해할 때 함께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쿨리발리가 다음날 파리 동부 유대 식료품점에서 인질극을 벌일 당시 부메디엔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프랑스 현지 언론들은 '작고 가냘픈 여성이 프랑스에서 가장 무섭고 가장 쫓기고 있는 인물이 됐다'며 부메디엔의 현상 수배 사진을 대서특필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 전역에서 총 70만 명이 넘는 시민이 길거리로 나와 행진하면서 테러 희생자를 애도하고 테러를 규탄했다. 11일 파리에서는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해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마테오 렌치 이탈리아 총리 등 34개국 정상들이 대거 참가한 가운데 테러 규탄 시위가 열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