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2015년 세계 경제서 주목해야 할 7가지 변수"

주요 외신은 2일(현지시간) 2015년 새해 세계경제의 운명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7가지 변수를 선정했다.

◇ 미국 기준금리 인상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와 규모. 미국 중앙은행이 2015년에 금리를 올리면 2006년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시기를 이르면 오는 6월쯤으로 예상한다. 다만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금리를 올리더라도 지금까지 유지해 온 초저금리 기조를 전면적으로 바꾸진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내 일자리 창출

지난해 미국 실업률은 5.8% 수준으로 급락하면서 지난 1999년 이후 가장 호조를 보였다. 새해 미국경제가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면 일자리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새 일자리 창출 규모와 임금상승률 수준에 관심이 쏠린다.

◇ 유럽 경기부진

유럽중앙은행(ECB)은 국채를 매입해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할 태세임에도 불구, 그리스발 위기가 가시화되는 등 유럽발 채무위기 문제가 재발할 우려가 있다. 그리스의 실업률은 무려 24%에 달하며 유럽연합(EU)의 엔진격인 독일도 지난해 2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 0.1% 기록한 이후 3분기에도 0.1%에 그쳤다.

◇ 일본 경제 회복 여부

일본은 새해 290억달러(32조305억원)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지난해 4월 소비세 인상 이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 중국 변수

중국은 매년 10% 안팎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최근 막대한 국가채무와 인구고령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사회 불안정 등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 뉴욕증시 향배

지난해 말 뉴욕증시의 대표지수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1만8000선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 2009년 이래 무려 170% 급등한 수준이다. 새해에도 뉴욕증시가 오를 것이란 관측이 대부분이지만 최근 5년간의 상승장이 막을 내릴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 국제유가 급락 '양날의 칼'

국제유가가 떨어지면 소비자들의 구매 여력을 높여주는 반면, 전세계 비중이 매우 높은 에너지 산업의 투자를 급격히 위축시켜 치명타를 안겨줄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