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한파가 찾아온 가운데 심하면 실명에 이르는 망막 혈관 폐쇄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망막 혈관 폐쇄증 환자는 지난 2012년 13만여명으로 2008년 9만여명에서 40% 이상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50대와 60대가 주를 이뤘다.
망막 혈관 폐쇄증은 눈 속 망막의 동·정맥이 뇌졸중과 같이 막히거나 파열돼 혈액 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질환이다.
뇌는 시신경을 통해 망막에 맺힌 사물의 형상을 인식한다. 따라서 망막이 한 번 손상되면 치료를 해도 복원이 어려우며 심할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망막 혈관 폐쇄증에 걸리면 통증 없이 시력 장애가 갑작스럽게 찾아온다.
안구를 채우는 젤 성분의 유리체에 출혈이 동반되면서 눈 앞에 검은 물체가 떠다니는 날파리증(비문증)을 겪는 사례도 있다.
망막의 중심을 지나는 동맥과 정맥이 막힐 때 실명 위험이 커진다. 이 경우 갑자기 먹구름이 낀 것처럼 눈 앞이 캄캄해진다.
중심이 아닌 주변부를 지나는 분지동 정맥이 막히면 시야가 부분적으로 흐려지는 정도에 그친다.
망막 혈관 폐쇄증의 원인으로는 고혈압과 동맥경화, 당뇨, 혈액질환, 심장질환 등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대사증후군이 꼽힌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발병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이 질환을 예방하려면 평소 혈압과 당뇨관리에 신경쓰고 자연식 위주의 식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금주·금연은 물론, 겨울 외출시 보온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망막 혈관 폐쇄증의 증상이 나타났다면 즉시 안과를 방문해 최대한 빨리 막힌 혈관을 뚫어줘야 한다.
망막 신경은 일단 손상되면 되살릴 방법이 없어 치료가 까다롭다.
치료는 증상에 따라 혈전용해제나 혈액순환제를 사용한다. 국소적으로 레이저 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망막 혈관 폐쇄증을 한 번 이상 경험하면 추후 심뇌혈관이 막혀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