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위치한 제일모직이 오는 10~11일 일반청약을 앞두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8일 금융투자업계와 제일모직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제일모직 일반청약에 참여하려면 대표주관사인 KDB대우증권과 공동주관사인 우리투자증권, 인수사인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대투증권, KB투자증권 등 모두 6곳에서 가능하다.
이번에 공개 모집되는 규모는 모두 2874만9950주이며 주당 5만3000원이다.
이에 따라 공모 규모는 무려 1조5237억원에 달한다.
앞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에서는 465대1의 단순경쟁률을 기록했다.
참여기관 849곳 모두 희망공모가 상단인 5만3000원 이상으로 신청가격을 제시했다. 단순계산하면 425조5000억원 넘는 자금이 몰린 셈이다.
투자자별 배정비율이 기관 50%, 일반투자자 20%, 고위험고수익(하이일드)펀드 10%, 우리사주조합 20%인 점을 고려하면, 일반청약 물량은 574만9990주가 된다.
인수단별 일반청약 물량 배정비율은 대우증권이 37.9%(217만9000주)로 가장 많고, 우리투자증권 30.7%(176만2000주), 삼성증권 24.2%(139만1000주), 신한금융투자·하나대투증권·KB투자증권 각 2.4%(13만9000주)씩이다.
개인투자자가 참여하려면 인수단에 참여한 증권사별로 일반청약 자격과 배정물량, 청약한도, 청약증거금률 등 조건이 다르다는 점을 먼저 숙지해야 한다.
주관사 등 6개 증권사 중 한 증권사(청약취급처)에서 이중청약은 할 수 없으나 증권사별 복수청약은 가능하다.
청약은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거나 홈트레이딩시스템(HTS), 홈페이지, 자동응답시스템(ARS), 유선 전화 등을 통해 하면 된다.
청약한도는 대우증권이 10만5000주로 가장 많고 우리투자증권 8만5000주, 삼성증권 6만주, 신한금융투자·KB투자증권 각 1만3000주, 하나대투증권 1만2000주 순이다.
다만 고객 자격요건에 따라 청약한도가 달라진다.
대우증권의 경우 일부 우대고객에겐 청약한도의 200%(21만주)까지 제공하지만 일반고객에겐 100%(10만5000주), 청약자격 기준 미충족 온라인 고객에겐 30%(3만1500주)를 각각 제공한다.
우리투자증권도 자격요건에 따라 청약한도의 500%, 100%, 150%, 200%씩을 적용한다.
하나대투증권과 KB투자증권은 우대 또는 우수고객에게 일반청약자 배정수량의 30%를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 70%를 우대고객과 일반고객에게 재배정한다.
청약증거금은 대우증권만 고객 자격에 따라 50%, 100%로 차등하며 다른 증권사들은 대부분 50%를 받는다.
청약수수료는 고객등급이나 청약채널(온라인·유선·방문)에 따라 면제에서 건당 5000원으로 증권사마다 다르다.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공고는 오는 15일 해당 증권사 홈페이지에 게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