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양강 경제 희비 엇갈려
세계 양강인 미국과 중국 경제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미국은 경기 회복세가 서민층까지 확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중국 경제성장률 예측치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24일(현지시간) AP·AFP 등 외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 하위 계층의 소득 증가폭이 부유층보다 크다고 밝혔다. 시간당 평균 임금이 12.50달러 미만인 계층의 소득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3.8% 상승해 45달러 이상인 계층의 2.5% 상승 폭을 웃돌았다는 설명이다.
골드만 삭스는 "하위층의 이같은 임금 상승폭은 1995∼2000년의 성장 붐 이후 딱 한 해를 제외하고는 가장 괄목할만한 것"이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소득 불균형이 확대됐지만 지난 1∼2년 사이 이들 하위 계층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 소재 민간경제 분석기관 콘퍼런스 보드의 경제 심리 조사에서도 한해 소득이 1만5000∼2만5000달러(약 1664만~2774만원)인 미국인의 경기 신뢰감이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 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 8%를 넘는 수치를 자랑하던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7%선까지 위협받고 받고 있다.
25일 중국증권보는 런민대 국가발전과전략연구원이 내년 중국의 경제 성장률을 7.2%로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올해 경제 성장률도 7.4%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류위안춘 런민대 집행원장은 "외부 수요가 약해지고 내수도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성장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며 "2차산업 증가율이 올해 7.5%에서 7.0%로 떨어지고 1차산업과 3차산업도 부동산 하락 등으로 경기 하강 압력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