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웅섭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2층 회의실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이날 진 원장은 "금융시장 안정과 소비자보호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금감원 제공
진웅섭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감원 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금융산업이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견인하는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하는 시점에 중책을 맡게 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금융산업과 감독당국에 대한 신뢰를 회복시키겠다"고 밝혔다.
진 원장은 "특히 단기적인 대내외 경제상황 변화에 편승해 특정 금융상품에 금융회사나 금융소비자의 자금이 집중되는 쏠림 현상에 각별히 유의할 것"이라며 "건전성 감독에서 거시적인 측면과 미시적인 측면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진 원장은 또 "금융이 실물경제 지원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진취적인 금융환경을 조성하겠다"며 "보수적인 금융관행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금융회사의 여신심사역량 강화를 유도해 기술금융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는 등 우리 경제의 생산적인 부분으로 자금이 막힘 없이 흐를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금융감독의 틀을 '불신의 기조'에서 '상호신뢰의 기조'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역설했다.
시장과의 소통 확대 의지도 밝혔다.
진 원장은 "금융회사의 자율과 창의를 존중하고 촉진하는 것에 최우선의 가치를 두고 시장과의 소통을 확대하겠다"며 "불투명하고 자의적인 구두지도와 법규에 저촉되지 않는 사소한 사항에 대한 책임 추궁 등 감독관행의 개선을 바라는 시장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년간 발생한 금융사고의 원인을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해 내부통제시스템을 '두껍고 강한 방패'처럼 굳건하게 구축하겠다"며 "금융소비자 보호와 서민금융의 양적·질적 개선을 위해 더 많은 감독역량을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진 원장은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선 금융시장과의 소통과 더불어 원만한 조정능력을 강조했다.
역대 최연소(55세) 금감원장인 만큼, 향후 대폭 물갈이 인사가 단행될 것이란 예상에 대해선 "아직 논의시점이 아니다"라고 말을 아꼈다.
다음은 진 신임 원장과의 일문일답.
-취임사에서 조용하고 차분한 운영에 대해 강조했는데 이유는?
금감원과 관계된 금융사가 수천개이다보니 시끄러울 수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감독과 규제운영 과정에서 매끄럽고 원만하게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시장과의 소통을 통해 업무를 처리하겠다.
-금감원 업무 중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금감원의 할일은 시장조정 능력과 소비자 보호다. 이를 더 효과적이고 상징적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고민하겠다.
-기술금융, 관계금융 등 금감원 추진방향과 정부의 여신심사 등 규제완화와 엇박자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 이에 대한 생각은?
기술금융이든 관계금융이든 추진 과정에서 이미 정부기관과 협의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 자세한 부분은 업무보고를 통해 세부내용을 확인하겠다
-금융소비자 보호원 분리설 등 추후 운영 방안에 대한 입장은?
아직 국회에서 법이 계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국회 진행상황을 살펴본 뒤 소비자보호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해 나가겠다.
-추후 금감원 내부인사는 언제 진행하나?
아직 논의 시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정 사실은 언제 통보받았나?
이를 밝히는 것은 인사권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