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경영실적이 나빠져 구조조정에 오른 중소기업이 125개사로 늘어났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9년(512개사) 이후 5년 만에 최대 규모다.
금융감독원은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 1609개사를 대상으로 정기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구조조정 대상기업은 125곳으로 전년 대비 11.6%(13개사)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중소기업은 최근 3년간 영업현금흐름이 적자를 기록하고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 자산건전성 '요주의이하' 등급을 받은 기업 가운데 지난 8월부터 3개월간 세부평가 결과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업체다.
C등급이 54개사로 전년과 동일했으나 D등급은 71개사로 1년전보다 13곳(22.4%)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기업의 경영실적이 악화한데다 채권은행의 적극적인 구조조정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부품 등 제조업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제조업종은 76개로 전년(53개) 대비 43.4% 증가한 반면에 비제조업은 49개로 전년(59개)보다 16.9% 감소했다.
제조업 중에는 전자부품(+8개), 플라스틱제품(+6개), 기타 운송장비(+5개) 등의 업종이 증가했고, 비제조업은 경기민감업종인 부동산업(+2개), 도소매업(+2개)이 소폭 늘었으나 오락및레저서비스업(-18개)은 급감했다.
이들 구조조정 선정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9월 말 기준으로 총 1조4069억원이었다.
이에 따라 구조조정 여파로 은행권이 적립해야 할 충당금은 4854억원으로 추산됐다.
은행들이 9월 말 현재 2328억원을 기적립했으므로 향후 2526억원을 추가 적립할 필요가 생겼다.
충당금 증가로 은행권의 BIS비율은 6월 말 기준 평균 14.16%로 0.02%포인트 하락에 그쳐 건전성에 미치는 크지 않을 것으로 금감원은 예상했다.
금감원은 C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자산부채 실사 및 경영정상화계획 수립 등 워크아웃을 조속히 추진할 방침이다.
D등급 기업의 경우 채권금융회사의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유도할 계획이다.
B~C등급 기업에 대해선 중기청의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을 활용해 정상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B등급 가운데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 패스트트랙 프로그램을 통해 채권은행들이 자금을 지원하도록 유도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용위험평가 직후 정상평가 기업이 회생절차를 신청하거나, 합리적 이유 없이 워크아웃이 중단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실태점검 등을 통해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을 철저히 점검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