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코코본드'로 불리는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후순위채)의 발행이 내년에 크게 늘어 은행권에서만 3조8000억원어치 발행될 것으로 전망됐다.
12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내년 은행의 조건부자본증권이 만기 도래하거나 상각되는 규모를 이처럼 예상했다.
조건부자본증권의 연간 만기 또는 상각 규모는 올해 1조8000억원에서 내년 3조8000억원으로 2배 넘게 급증했다.
그러나 오는 2016년엔 3조3000억원으로 줄어들고 2018년까지 2조9000억원 등 점차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은행자본규제 기준인 바젤Ⅱ에서 자본으로 인정받던 조건부자본증권이 바젤Ⅲ 시행으로 매년 10%씩 상각되면서 인정범위가 줄기 때문에 다른 조건이 같다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시간이 갈수록 낮아진다.
은행에 이어 보험권에서도 위험기준 자기자본(RBC) 비율 규제 강화로 인한 자본 보완을 위해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을 늘릴 전망이다.
업종별로는 생명보험이 1조7000억원, 손해보험이 6870억원 등 총 2조4000억원의 자본 보완이 예상된다.
삼성증권은 "이에 따라 보험권은 내년과 2016년에 각각 1조2000억원의 조건부자본증권을 발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건부자본증권은 은행 등 발행사의 자본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거나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원리금이 자동으로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되는 채권이다.
지난 4월 우리은행이 해외에서 달러표시로 발행했고 9월 JB금융지주는 2000억원 규모의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을 발행하는 등 최근 은행들을 중심으로 발행이 늘고 있다.
최종원 삼성증권 연구원은 "조건부자본증권은 현재 국내에서 투자수요가 존재하고 발행 전력도 있기 때문에 저금리의 원화발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앞으로 다양한 조건의 조건부자본증권이 활발하게 발행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