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국제일반

[글로벌 이코노미] "양떼로 잔디 깎아요"

/cleveland.com



미국 오하이오주 이리호 인근 공터에서 양 36마리가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다. 양떼 목장의 풍경 같지만 잔디 깎기 작업 현장이다.

클리블랜드시가 참신한 방법으로 '도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 눈길을 끌고 있다고 미국 경제매체 CNN머니가 최근 전했다.

특히 정원사 대신 '양떼로 잔디 깎기' 프로그램은 시를 친환경 도시로 만드는 것은 물론 지역 살림까지 알차게 꾸리고 있다. 지역 개발 단체의 마이클 플래밍 이사는 "정원사를 고용하면 공터를 관리하는 데 4000달러(약 430만원)가 든다. 하지만 양떼를 풀어 놓으면 그 절반도 안 되는 1500달러면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사용하지 않는 산업용 부지 등이 많다"며 "전문 인력으로 관리하려면 비용이 엄청나다"고 프로그램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양떼가 적당히 풀을 뜯어먹은 덕분에 4에이커(1만6000㎡) 규모의 호수 옆 공터는 깨끗하게 관리된 모습이다.

플래밍 이사는 "처음에는 양떼로 잔디를 깎는 일이 잘 될지 반신반의했지만 생각보다 결과가 좋았다"면서 "앞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본격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공 부지는 물론 일반 가정의 정원을 관리할 때도 양떼를 활용할 수 있다"며 "정원사를 장기 고용하는 것보다 양 몇 마리를 풀어 두는 게 비용 면에서 저렴하다"고 귀띔했다.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는 정은미씨는 이에 대해 "양떼로 잔디를 깎다니 참 기발하다"면서 "정원이 큰 집에 특히 쓸모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정씨는 "잔디를 제대로 관리하려면 매주 80~100달러를 주고 정원사를 써야 한다"며 "하얀 양떼가 그 자리를 대신하면 비용이 주는 것은 물론 그림 같은 잔디 깎기 풍경이 연출돼 감상하는 재미도 있겠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플래밍 이사는 양떼로 부수적인 수입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의 털을 깎아 팔 수도 있고, 양모에서 피부관리 제품에 사용되는 라놀린을 추출해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홍보 문구를 붙인 재킷을 양떼에 입혀 '움직이는 광고'를 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했다.

한편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은 염소 떼로 공항의 목초지를 관리하고 있다. 공항 측은 지난해 한 레스토랑이 시카고 외곽의 농장에서 키우고 있는 염소 25마리를 일꾼으로 고용했다. 2년간 계곡과 언덕 등지를 이동하며 풀을 뜯는 조건으로 1만 9500달러를 지불했다. 공항의 목초지는 바위가 많고 경사가 심해 기계로 관리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