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정부와 시위대가 이번주 내 공식 대화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2017년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 선거안 발표로 반중 시위가 벌어진 지 거의 열흘 만이다.
7일 홍콩 명보 등에 따르면 대학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의 레스터 셤 부비서장과 정부 측 라우콩와 정치개혁·본토사무국 부국장은 전날 공식 대화를 위한 예비 접촉을 했다.
양측은 이 자리에서 ▲ 앞으로 여러 차례 대화하되 ▲ 대화는 직접적이고 상호존중의 기초에서 이뤄져야 하며 ▲ 정부가 대화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세 가지 원칙에 합의했다.
그러나 시위대 해산 일시 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렁춘잉 행정장관은 시위대가 최대한 빨리 해산할 것을 촉구했다. 반면 시위대 측은 정부가 시위대를 서둘러 정리하려고 나설 경우 합의는 불가능 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현재 시위는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정부와 시위대의 협상이 결렬되면 시위는 다시 격화될수 있다.
시위대의 규모는 정부 청사 봉쇄가 풀린 6일을 기점으로 크게 줄었다. 한때 20여만 명에 달했던 시위대 규모는 수백 명 수준으로 급격하게 감소했다. 시위 여파로 휴교했던 홍콩섬 서부 지역의 초등학교는 이날 수업을 재개했다.
한편 홍콩 시민의 약 70%가 이번 시위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홍콩연구협회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18세 이상 시민 1361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했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의 67%는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한 응답자의 46%는 시위가 홍콩의 국제적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