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행진'을 벌이고 있는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6와 6플러스의 부품·조립 비용이 200∼263달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마진율은 69~72%에 달한다는 추정이다.
IT전문매치 씨넷은 시장조사기관 IHS가 이 두 제품을 분해해 분석한 결과, 이같은 추정을 내놨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분석에 따르면 16기가바이트(GB) 기준 아이폰6의 재료비는 196.10달러, 조립 비용은 4달러다. 원가가 200.10달러인 셈이다.
16GB 기준 아이폰6 플러스의 재료비는 210.10달러, 조립 비용은 4.50달러다. 합계는 215.60달러에 불과하다.
128GB 모델의 경우에도 재료비와 노무비의 합계는 아이폰6가 247.10달러, 아이폰6 플러스가 262.60달러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 두 제품에 사용된 메모리는 마이크론과 하이닉스 등으로 1GB당 0.42달러로 추정된다. 아이폰6와 6 플러스에 쓰인 16GB 낸드와 1GB LPDDR3의 부품 가격은 15달러다.
또 애플이 설계한 64비트 A8 프로세서는 20달러, 퀄컴 MDM9625M와 WTR1625L와 WFR 1620와 앞면은 33달러다. 오디오 코덱, NFC 컨트롤러, 센서 등을 합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센서 부품이 22달러다 브로드컴 BCM4345 등 블루투스와 무선랜 모듈이 4.50달러다. 다이얼로그와 퀄컴의 전원 관리 장치가 7달러, 기타 다른 기계적 혹은 전기기계적 부품이 30달러 등이다.
아이폰 6에 쓰이는 4.7 인치 1334×750 인셀터치 IPS LCD는 45달러, 아이폰 6에 쓰이는 5.5 인치 1920×1080 인셀터치 IPS LCD는 52.50달러다.
카메라 모듈은 아이폰 6의 것이 11달러,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이 있는 아이폰 6 플러스의 것이 12.50달러로 계산됐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용량 1810mAh인 아이폰 6의 것이 3.60달러, 용량 2915mAh인 아이폰 6 플러스의 것이 4.60달러로 평가됐다.
아이폰 6와 6 플러스 16GB 모델의 정가는 각각 649달러와 749달러이다. 미국에서 이동통신사 서비스 2년 약정 조건으로 사면 각각 199달러, 299달러다.
아이폰 6와 6 플러스의 64GB 모델은 이보다 100달러씩, 128GB 모델은 200달러씩 가격이 높다.
이에 따라 마진율을 계산하면 아이폰 6의 16GB 모델이 69%, 128GB 모델이 71%, 아이폰 6 플러스의 16GB 모델이 71%, 128GB 모델이 72%인 셈이다.
이는 재작년에 나온 아이폰 5와 작년에 나온 아이폰 5s의 마진율이 약 69%로 추정됐던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이번 계산은 재료비와 노무비만 따진 것으로 제조원가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제조원가에는 재료비, 노무비뿐만 아니라 연구개발비, 수수료, 감가상각비 등 관련 경비와 다른 요소들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