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 처리로 회장이 부재 상태인 CJ·SK 등 재벌그룹들의 주가가 10대그룹 가운데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거래소와 재벌닷컴에 따르면 CJ그룹과 SK그룹의 시가총액은 올 들어 각각 31.76%, 14.36% 증가했다.
이는 10대 재벌그룹 중 1~2위에 해당한다.
또 이 기간 10대 그룹 전체 시총이 3.11%(23조1880억원)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CJ그룹 시총은 지난해 말 16조822억원에서 지난 19일 현재 21조1902억원으로 5조1080억원 늘어났다.
그룹의 9개 상장사 중 CJ(53.39%), CJ대한통운(59.50%), CJ E&M(58.20%) 등 7곳의 주가가 상승했다.
SK그룹 시총은 이 기간 80조8723억원에서 92조4896억원으로 11조6173억원 증가했다.
그룹 상장사별로는 SK하이닉스(21.83%), SK텔레콤(27.17%) 등이 오르면서 그룹 전체 시총 증가를 이끌었다.
CJ와 SK그룹 외 시총이 늘어난 곳은 LG그룹(8.69%), 포스코(6.05%) 두 곳뿐이었다.
반면 삼성그룹(-7.55%), 현대중공업그룹(-40.16%)의 시총이 급감하는 등 나머지 6개 그룹의 시총은 줄어들었다.
시장에서는 주가가 강세를 보인 CJ그룹과 SK그룹의 총수가 공교롭게도 사법처리돼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상태라는 점에 주목한다.
이재현 CJ 회장은 지난 2월 1심에서 횡령 등 혐의로 징역 4년의 실형을 선고받은 뒤 현재까지 구속은 면한 상태이지만 재판 참석과 건강 악화 등으로 경영에 거의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해 1월 1심에서 횡령 등 혐의로 징역 4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된 이후 지금까지 1년 9개월째 수감생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