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채권·펀드

지난주 국내주식펀드 수익률 -0.82%…해외 2.12%

지난주 국내주식펀드의 수익률은 엔저 현상에 따른 수출기업의 실적 하락 우려와 기관의 순매도세 증가에 국내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동반 하락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이 지난 5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주식형펀드는 한 주간 0.82% 내렸다.

전반적인 약세장 속에 소유형 기준 모든 펀드가 하락했다.

K200인덱스펀드가 -1.12%로 가장 부진했고 중소형주식펀드와 일반주식펀드도 각각 -0.82%, -0.77%로 마이너스 성과를 냈다.

배당주식펀드도 0.30% 떨어졌다.

일반주식혼합펀드와 일반채권혼합펀드는 각각 0.41%, 0.24% 하락했고 절대수익추구형인 시장중립펀드도 0.03% 내렸다.

채권알파펀드(-0.06%)와 공모주하이일드펀드(0.18%)도 줄줄이 약세를 나타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주식펀드 1667개 중 147개가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했다.

이 중 991개 펀드가 코스피지수 수익률을 웃돌았다.

해외주식펀드는 주요국 경제지표 호조에 전반적으로 순조로운 상승 흐름을 보였다.

지난주 해외주식펀드의 수익률은 2.12%로 집계됐다.

미국 증시가 사상최고치를 경신했고 중국 증시도 연중 최고치에 닿으면서 전체 해외펀드의 성과를 끌어올렸다.

대유형 기준으로 해외주식혼합형펀드와 해외채권혼합형펀드가 각각 0.25%, 0.29% 상승했다. 해외부동산펀드도 0.32% 올랐다.

반면 커머더티형펀드와 해외채권형펀드는 각각 -0.90%, -0.04%로 부진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주식펀드가 3.43%로 가장 성과가 높았다. 상하이증시가 부동산 경기부양, 관광비제조업과 서비스 지표 호조 등에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인도주식펀드도 3.02%로 수익률이 양호했다. 인도 증시는 경기 성장 회복과 세금징수 증가에 따른 재정개선, 해외자금 유입 규모 증가 등으로 투자심리가 고무되면서 연일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

브라질주식펀드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2.81% 오르며 강세를 이어갔다. 브라질 증시는 현 대통령의 재임 가능성을 둘러싼 정치 불확실성이 부담으로 작용했으나 경기회복 기대감이 지수를 끌어올렸다.

일본주식펀드는 미국 경제지표 호조와 엔화 약세 등에 1.24% 상승했다.

유럽주식펀드는 지난 4일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유럽 주요국 증시가 관망세를 보이면서 0.34% 오르는 데 그쳤다.

북미주식펀드는 ECB의 발표를 앞둔 관망세와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불안이 지속되면서 0.2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 1일 미국 증시는 노동절로 하루 휴장했다.

반면 러시아주식펀드는 -2.69%로 부진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핵무기 사용을 언급하며 위협했다는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의 발언이 양국간 긴장을 높였다.

섹터펀드 중에서는 멀티섹터가 0.97%로 성과가 가장 좋았다.

에너지섹터와 금융섹터가 각각 0.89%, 0.81%로 뒤를 이었고 헬스케어섹터와 소비재섹터는 각각 0.42%, 0.12%를 기록했다.

기초소재섹터는 -1.32%로 지난주에 이어 약세를 면치 못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1231개 해외주식형펀드 중에서 1054개가 플러스 성과를 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