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국내 증권회사들이 전 분기에 이어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13일 지난 2분기 국내 증권회사 61개사의 당기순이익이 27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2억원(132.7%) 증가했다고 밝혔다.
증권회사들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익이 2979억원으로 흑자전환하고서 2분기에도 흑자 기조를 지속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금리가 하락하면서 채권 관련 자기매매이익이 증가한 것이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요 항목별로는 수수료 수익이 전년 동기보다 1564억원(9.7%) 감소했고 판매관리비는 960억원 증가했다.
특히 주식거래대금의 지속적인 위축으로 수탁수수료 수익이 2150억원(21.6%) 줄어들었다.
지난해 2분기 398조6000억원이던 주식거래대금은 올해 1분기 335조6000억원, 2분기 331조2000억원으로 감소 추세다.
판매관리비는 인원 및 지점을 감축한 증권회사의 비용절감 노력에도 불구, 구조조정에 따른 명예퇴직금 등 일시적 비용 부담으로 1년새 5.1% 증가했다.
증권회사 인원 수는 지난해 6월 말 4만1687명에서 올해 3월 말 3만9146명, 6월 말 3만7723명으로 1년새 4000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증권회사의 국내지점 수 역시 이 기간 1565개에서 1380개, 1343개로 감소했다.
그러나 자기매매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8281억원(127%) 증가하면서 당기순익 흑자 기조를 이끌었다.
자기매매이익 가운데 파생 관련 손익은 지난해 2분기 8500억원에서 올해 2분기 255억 손실로 적자 전환했으나 주식과 채권 관련 손익이 대폭 늘었다.
주식 관련 손익은 이 기간 5326억원 적자에서 8억원 흑자로 돌아섰고 채권 관련 손익은 3345억원에서 1만5047억원으로 349.8% 크게 증가했다.
회사별로는 39개사가 흑자를 기록한 반면 22개사는 적자를 냈다.
적자회사 중 국내 증권회사가 12곳, 외국 증권회사가 10곳이었다. 이 중 4곳은 지난해 이후 매 분기 손실을 지속했다.
전체 증권회사의 평균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6월 말 현재 451%로 3월 말 471.2%에 비해 20.2%포인트 감소했다.
증권회사의 채권 보유규모가 늘면서 금리 관련 총 위험액이 이 기간 2231억원 증가한 데 주로 기인했다.
증권회사의 채권 보유잔액은 지난해 12월 말 135조7000억원에서 올해 3월 말 141조3000억원, 6월 말 150조원으로 확대됐다.
적자를 기록한 22곳의 평균 NCR은 463.3%로 지도비율(150%)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