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의 기업이 지원자들의 고스펙을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226개사를 대상으로 '지원자들의 보유 스펙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25.7%가 '지원자의 보유 스펙이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다'고 답했다.
요구수준보다 과하게 갖췄다고 판단되는 스펙으로는 '대학원 등 고학력'(62.1%,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토익 등 어학성적'(37.9%), '어학연수 등 해외경험'(31%), '외국어 회화능력'(20.7%), '직무 관련 자격증'(20.7%), '인턴 경험'(17.2%), '높은 학점'(12.1%), '봉사활동'(12.1%) 등이 뒤를 이었다.
채용과정에서 스펙을 중점적으로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81.9%가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스펙만으로 검증 못하는 게 있어서'(49.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인재상 부합 등 다른 기준이 중요해서'(37.3%), '고스펙자를 뽑아도 이탈 등 손해가 커서'(22.7%), '스펙의 변별력이 떨어져서'(17.8%), '어차피 스펙 외 요소로 당락이 결정되어서'(16.8%), '스펙은 취업을 위해서만 갖춘 것 같아서'(12.4%) 등도 많이 거론됐다.
스펙 대신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는 '책임감, 원만함 등 인성적 요소'(71.9%,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직무 지식 또는 수행 능력'(49.7%), '입사의지 등 조직 관련 태도'(37.8%), '사교력, 포용력 등 사회성'(27%), '풍부한 지식과 경험 보유'(24.3%), '창의, 혁신적 사고력'(22.7%), '잠재력, 성장성'(21.1%)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