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창업 37% "당장 먹고살기 위해"…주요국 중 최고 수준

우리나라 전체 창업자 10명 중 4명은 먹고 살기 위해 창업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저부가가치형 창업 생태계를 바꾸지 않는 한 정부가 내세우는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을 둔 창업 활성화 정책은 효과를 내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28일 글로벌 기업가활동 모니터(GEM)가 펴낸 '글로벌 리포트 2013'을 살펴보면 한국의 42개월 미만 초기 창업 가운데 생계형 창업 비중은 36.5%에 달한다. 이는 주요선진국중 최고 수준이다.

스페인(29.2%)·대만(28.7%)·일본(25%)·그리스(23.5%)·체코(22.7%)·포르투갈(21.4%)·미국(21.2%) 등이 선진국치고는 비교적 높은 20%대의 생계형 창업 비율을 보였지만 우리나라보다는 훨씬 적다. 독일(18.7%)·프랑스(15.7%) 등 서유럽국가 대부분은 10%대로 비교적 건실한 창업생태계를 구축했다. 우리가 창조경제의 모델로 삼는 이스라엘도 17.4%에 불과했다.

특히 탄탄한 경제와 복지제도를 자랑하는 노르웨이(4%)·스위스(7.5%)·네덜란드(8%)·스웨덴(9.7%) 등은 한자릿수 지표로 가장 양호한 국가군에 속했다.

반면 소득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한 기회추구형 창업은 우리나라가 51.1%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76%로 가장 높았다. 싱가포르(68.8%)·스위스(67.2%)·네덜란드(67.1%)·캐나다(66.9%) 등이 뒤를 이었다. '20년 불황'에 시달리는 일본도 우리나라보다 높은 59.6%에 달했다.

한 벤처업계 관계자는 "양질의 일자리와 사회안전망이 미비한 가운데 기존 직장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생계유지의 마지막 수단으로 요식업 등의 저부가가치 서비스 창업에 나서고 있다"며 "젊은 예비 창업가뿐만 아니라 조기 퇴직자의 재교육에도 신경쓰는 창업정책이 뒷받침돼야 생계형 창업 비중을 줄이고 고부가가치 창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