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는 내리고 장기 신용대출 금리를 올리는 방식으로 수익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기조 속에서 ‘고금리 장사’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최근 예·적금 금리를 내렸다. ‘퍼스트 정기예금’ 연이율을 3년만기의 경우 2.8%에서 2.6%로, 4~5년 만기는 2.9%에서 2.6%로 각각 낮췄다.
주택청약예금 1년 기준 연이율은 3.2%에서 3.1%로 하향 조정했고 적금 금리도 잇따라 내렸다. ‘퍼스트 가계적금’ 24개월 이상~36개월 미만 연이율은 3.9%에서 3.6%로 낮췄다.
씨티은행은 장기 신용대출 금리를 올렸다.
‘직장인신용대출’은 12개월 연이율이 기존 7.31%에서 7.33%로, 24개월짜리는 7.06%에서 7.12%로 각각 올랐다. ‘더 깎아주는 신용대출’ 24개월 만기는 기존 6.91%에서 6.96%로, 36개월짜리가 6.91%에서 6.97%로 상향됐다.
‘닥터론’과 ‘팜론’ 12개월짜리 연이율도 8.46%에서 8.48%로 조정됐다.
모기지론 금리도 인상됐다. ‘굿뱅크 장기 모기지론’의 24개월 변동주기 연이율은 4.26%에서 4.31%로, 36개월 변동주기는 4.26%에서 4.32%로 각각 상향됐다.
외국계 은행들이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금리도 일반 시중은행이나 전업계 카드사보다 훨씬 높게 책정하고 있으면서 최근 이같은 조치를 취해 ‘이자놀이’라는 시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외국계은행들의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금리는 SC은행이 고객의 78.28%, 씨티은행이 76.72% 수준이다.
외국계은행은 국내 은행들보다 감독 당국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예금금리나 대출금리를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