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불거진 지 오래지만 정작 취업에 성공한 신입사원 중에 1년 뒤에도 회사에 남아있는 인원은 100명 중 70.6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과 직무 부적응이 주된 원인으로 조사됐다.
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92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2년 신입·경력사원 채용실태 특징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입사한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이 23.6%를 기록했다. 입사시험에 합격하고도 입사하지 않는 '입사포기율'도 7.6%에 달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신입사원 조기 퇴사현상이 두드러졌다. 대기업의 입사포기율과 1년 내 조기퇴직률은 각각 6.2%, 8.6%인데 반해, 중소기업의 입사포기율과 1년 내 조기퇴직률은 25.1%, 30.6%로 대기업의 평균 3.4배에 달했다. 대졸 신입 100명이 입사하면 1년 뒤에도 재직 중인 인원이 대기업은 85.7명이지만 중소기업은 52.0명 수준인 것이다.
조사에 응한 기업들이 밝힌 신입사원 조기 퇴사의 원인으로는 '조직 및 직무 적응 실패'(43.1%)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23.4%)과 '근무지역 및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14.2%) 등이 37.6%, '공무원 및 공기업 취업 준비'(12.4%)와 '진학 및 유학'(6.4%) 등이 18.8% 순이다.
대기업 신입사원들의 조기 퇴사 원인으로는 '공무원 준비 및 진학' 등이 40.6%로 가장 많았고 '급여 및 근무환경 불만' 등은 15.7%를 차지했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급여 및 근무환경 불만'이 46.7%로 가장 많고 '공무원 준비 및 진학' 등은 9.7%에 그쳐 대기업과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한편 기업들은 신입사원의 임금이 업무능력으로 평가한 적정 임금보다 평균 10.6% 더 높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기업이 평가하는 적정급여와 실제 임금과의 격차도 줄어들어 2010년(13.2%)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