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여성갑부 절반은 중국인

조부모가 육아 대신하고 비용저렴해 자수성가 유리

전 세계 자수성가한 여성 갑부 절반이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파이낸셜타임스는 ‘후룬 여성 자수성가 억만장자 보고서’를 인용, 중국 여성들이 세계 최고 여성 부자 1위에서 3위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지구촌 여성 부자 20명 중 11명이 이들이라고 전했다.

후룬 보고서에 따르면 주룽 제지의 장인(53) 회장이 개인 재산 추정 56억 달러로 세계 최고 자수성가 여성 자리에 올랐으며 롱포 프로퍼티의 우 야준(46) 회장이 41억 달러로 2위, 홍콩 재벌 푸후아 인터내셔널의 첸 리후아(69) 회장이 40억 달러로 3위를 차지했다.

중국인이 아닌 세계 최고 여성 갑부는 의류 업체 ‘자라’의 대표인 스페인의 로살리아 메라로 개인 재산은 35억 달러에 달한다.

의류 업체 대표 가운데 ‘갭’의 도리스 피셔는 8위, ‘베네통’의 줄리아나 베네통은 11위에 올랐다. 또 미국 토크쇼의 여왕 오프라 윈프리는 23억 달러로 9위를 차지했다.

중국유럽국제공상학원의 난다니 린튼은 중국 여성들이 자수성가하여 갑부가 되는 데는 정치적, 사회적 요인들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린튼은 “마오쩌둥이 ‘여성이 하늘의 절반을 떠받들고 있다’라고 말한 이후 중국의 모든 여성들은 일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육아 비용이 저렴하고 조부모들이 육아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중국 여성들이 부를 쌓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뉴욕의 워크 라이프 정책센터(CWLP) 조사 결과, 중국 여성들이 세계에서 가장 야망이 큰 여성들로 밝혀졌다. CWLP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여성의 76%가 고위직을 노리고 있는 반면 미국 여성의 경우는 52%에 그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