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 가치 저평가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환율 전쟁’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중국증권보는 27일 미국이 자국 경제 회복을 위해 양국 간 무역불균형 문제의 원인을 위안화 환율문제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커지면서 양국 간 환율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최근 중국의 환율 절상 폭이 커졌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며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 하원 세입위원회는 24일(현지시간) 중국 등 환율 조작 의심을 받는 국가들로부터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원 세입위는 통화가 저평가된 국가들의 수입품에 대해서는 보복 관세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공정무역을 위한 환율개혁법안’을 구두 표결을 통해 가결, 하원 전체회의로 넘겼다.
이 법안은 환율을 조작했다고 의심되는 국가들에 징벌적 차원의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중국을 겨냥한 것이다.
미국 고위 관리들도 중국에 대한 환율 압박을 공개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3일 방미한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위안화 환율 문제로 발생한 미국과의 긴장 관계를 풀기 위해 중국은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라엘 브레이너드 미국 재무차관도 27일 “위안화는 확실히 저평가돼 있다”며 “위안화 환율이 시장에서 요구하는 절상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국은 미국의 이 같은 압력에 대해 정면으로 대응하고 있다.
대만을 방문 중인 천젠 중국 상무부 부부장은 27일 미국 하원 세입위의 법안 가결과 관련, “미국 국회가 중국 상품에 대해 중과세를 하는 법안을 허가하는 것은 쓸데없는 일”이라고 정면 반박했다.
원자바오 총리도 지난 22일 오바마 대통령과의 회담에 앞서 “위안화 환율을 급속하게 절상할 근거가 전혀 없다”며 미국의 위안화 절상 압력에 정면 대응한 바 있다.
한편 중국은 미국 하원 세입위의 법안 가결 직후인 26일 미국산 닭제품에 고액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